반응형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모르겠다. 어떤 이야기로 글을 시작할까에 대한 고민을 했다. 내용 중 상상력을 가장 많이 동원하며 읽었던 바닷속 산호초 플랫폼의 이야기로 운을 떼볼까, 아니면 멜서스-다윈-마르크스의 관계로 이어지는 흥미로운 영향관계를 시작으로 운을 뗄까? 사실 재미난 내 주변의 사례로 이야기를 시작하고 싶었지만, 책에서 말하는 탁월한아이디어의 모습을 일상에서 찾기는 그리 쉽지 않았다. ‘탁월한 아이디어라는 것이 현재의 시점에서 무엇이 탁월한지 판단하기 쉽지도 않을뿐더러, 그런 역사적 혁신이 자주 일어나지는 않기 때문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은 탁월한 아이디어로부터 온 혁신이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지인과의 대화가 생각났다.

 

이 블로그를 막 시작했던 당시, 지인에게 블로그 주소를 가르쳐주지 않고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를 풀고 있었다. 그때 지인은 지식 공유의 중요성을 이야기했다. 그의 말에 따르자면, 똑같은 아이디어를 가진 두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한 명은 타인들에게 자신이 발견한 좋은 아이디어를 계속해서 알려주고 함께 공유하며 토론했고, 다른 한 명은 자기 혼자만의 데이터베이스에 차곡차곡 정리하며, 자신의 우월성에 희열을 느꼈다고 한다. 몇 년 후 두 사람의 모습은 완전히 변해있었다고 한다. 전자의 경우는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더 나은 사람이 되었고 더 발전적인 아이디어를 얻었지만, 혼자 지식을 저장하던 사람은 학원강사가 되었다고 한다. (학원강사에 대한 하대는 아니지만, 당시의 문맥에서는 지식이나 생각을 공유해야 하는 이유를 나에게 이야기 하려고 했던 것 같다.) 지인이 나한테 해주고 싶었던 말은 이 책의 저자 스티븐 존슨이 책을 통해 하고 싶었던 말과 비슷한 맥락에 있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도시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한 고민을 했다. 요즘 대학원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왜 내가 그곳에서 공부를 하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있었다. 사회학에서 본 도시의 발전이 환경이나 국제개발학에 중요한 주제를 던져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서 나는 도시네트워크의 발전이 아이디어의 발전과 혁신의 발전에 중요한 플랫폼의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국제개발학과 환경을 접목시키고 그에 교육을 접목시키면서, 개발도상국의 장기적인 경제개발과 환경의식의 영향에 관해서 고민하던 찰나, 이런 도시개발의 메커니즘과 원리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그 곳이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이야기의 시작점을 풀기 시작할 수 있었다. 굳이 가져다 붙이자면, 이는 인접가능성의 한 찰나이며, 내가 서서히 새로운 연결고리들을 만들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하자면, 이 책은 지난 700년 간 200개의 탁월한 혁신을 연구/분석하여 그 중 7가지 패턴을 추려낸 책이라고 한다. 킬링제도의 산호초 위에서 산호를 바라보던 다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현재 우리 일상을 파고든 스마트폰과 인터넷 플랫폼까지의 탁월한 혁신들이 어디서 왔는가를 다루는 책이다. 저자는 인접가능성, 유동적 네트워크, 느린 예감, 뜻밖의 발견, 실수, 굴절적응, 플랫폼, 7가지 키워드로 혁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역사 속 사례를 들며 풀어간다. 7가지 키워드는 이미 수많은 블로그나 서적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명제이기는 하나, 스티븐 존슨이 찾아낸 역사적 사례들은 독자들에게 깊은 고민과 함께, 실수에 대한 자신감과 함께 수많은 교양지식을 던져주고 있다. 그의 마지막 말로 이 책의 서평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산책을 하라, 예감을 키워라, 모든 것을 메모하되 폴더는 엉망으로 놔두어라, 뜻밖의 발견을 포용하라, 생성 능력이 있는 실수를 하라, 여러 가지 취미 활동을 하라, 커피하우스를 비롯한 유동적 네트워크에 자주 가라, 링크를 따라가라,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아이디어 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게 하라, 빌리고, 재활용하고, 다시 만들어라, 복잡하게 뒤얽힌 바다를 만들어라.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 p272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